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웹개발
- 소스트리
- C++
- 자바
- 차등프라이버시
- react_useeffect
- html
- node.js 초기설정
- map()함수
- props {}
- react_usecallback
- java
- js
- 코린이
- react_usememo
- react_usereducer
- 미디어쿼리
- JavaScript
- 커밋메시지 변경하기
- 알고리즘
- DB
- branch 합치기
- 제로샷-원샷-퓨샷
- vercel
- React
- server비교
- css
- 내돈내산
- 자식커밋 쌍방향 재배치 오류
- 웹개발공부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15)
Soony's House

SELECT *FROM EMPLOYEE;--모든행 행(WHERE 이하 조건이 없으므로) 과 모든 컬럼조회 · 논리연산자 AND, OR 는 ' &&와 || ' 가 아닌 AND, OR로 사용한다.-- 부서코드가 'D6'이면서, 이름이 '유재식'인 사원의 모든 정보 조회SELECT *FROM EMPLOYEEWHERE DEPT_CODE = 'D6' AND EMP_NAME = '유재식'; · 여러 컬럼의 결과나 값을 '하나의 컬럼'으로 묶을때 ' || ' 사용한다.SELECT EMP_ID || EMP_NAME || '사원' FROM EMPLOYEE; · 비교연산자 중 '같지않다' : != , ^=, · LIKE 연산자: 입력한 숫자, 문자가 포함된 정보를 조회할때 사용하는 연산자 1) '_' : ..

Oracle Cloud 1. 2. 자율 운영트렉색션 처리 (ATP) 사용 자율 운영 데이터베이스(Autonomous Database): 기존의 DBA가 수행하던 데이터베이스 보안, 백업, 업데이트 및 기타 업무를 자동화하는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이다. 3.기존에 생성해둔 Multi0729 라는 이름의 데이터베이스가 보인다. 클릭해서 들어가쟈 4. 데이터베이스 작업 > SQL 클릭 5.명령어를 통해 유저 생성, 권한부여, 유저삭제 등이 가능하다. DBeaver 에 데이터베이스 연결시키기전자지갑이용TNS 이름 나중에 DBeaver에 입력하는 코드에 넣어줘야됨.. -DBeaver +내용추가할 예정

자바에서 입출력(I/O)라고 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print와 Scanner가 전부였다. 이는 자바에서 단순히 입출력하는 방법이다.컴퓨터의 입출력은 Input,Output 줄여서 "I/O" 라고 한다. 자바에서 모든 IO는 스트림(Stream)을 통해 이루어진다. 1. Stream 종류 2. Reader 클래스 3. Writer 클래스 스트림 (Stream) 입출력 장치에서 데이터를 읽고 쓰기 위해 자바에서 제공하는 클래스byte 형태로 데이터를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연결통로.하나의 스트림으로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다. (단방향통신, 입출력을 동시에 하려면 2개 스트림 필요함.)큐의 구조, FIFO(First In First Out) 데이터의 스트림 근원지(시작점) :..

프로그램 오류 종류 1. 컴파일 에러 : 프로그램의 실행을 막는 소스 상 문법 에러. 소스 구문을 수정해서 해결 한다.2. 런타임 에러 : 입력값이 이상하거나, 배열의 인덱스 범위 초과 문제, 계산식의 오류등...-> 주로 if문으로 에러를 처리한다.3. 시스템 에러: 컴퓨터 오작동 등.. 에러(Exception) : 소스 수정으로 해결 가능한 에러우리는 예측가능한에러(예외 상황) 을 예외처리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예외처리 (Exception Handling) 예외처리란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발생할 수 있는 예외의 상황에 대비한 코드를 작성해주는 처리 방식이다.프로그램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막아버리거나, 복구를 시도하거나(에러 잡기), 상황을 회피하는 방식 등으로 처리하여 정상적으로 프로그램이..

String , StringBuffer , StringBuilder 클래스는 자바에서 문자열을 다루는 '자료형 클래스'로 지원하는 '3가지 자료형'이다. 위 세가지 자료형은 모두 문자열을 다룰때 사용하나, 각각 쓰임새가 다르다.:보통 성능과 상황에 따라 비교하여 선택해서 사용한다. String 클래스 / StringBuffer클래스, StringBuilder에 대해 비교 · 정리해보자! String 클래스 불변형(immutable) 자료형따라서 초기 공간과 연산을 할 때 많은 시간과 자원을 사용하는 편이다.불변형으로 설계하는 이유: 보안, 동기화, 캐싱(힙 공간 절약)등의 성능적 이점을 얻기 위해서이다.문자열을 수정할 경우, 수정된 문자열이 새롭게 할당되어 새 주소를 넘기게 된다. Str..

자바(JAVA)는 객체지향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ing, OOP)으로, 4가지 특성을 가진다.1. 상속 (Inheritance)2. 다형성 (Polymorphism)3. 추상화 (Abstraction)4. 캡슐화 (Encapsulation) 이 중 상속과 자바의 다중상속(인터페이스)에 대해 정리해보자.1. 상속1-1. 오버라이딩 @Override1-2. super 2. 인터페이스3. 추상클래스 1. 상속 부모 클래스(슈퍼클래스)의 속성과 기능을 그대로 물려받는다.extends 키워드를 사용한다.extends 대상은 하나만 선택할 수 있다. (하나의 부모클래스만 상속받을 수 있다! ) 🌟자식이 상속을 받게 되면, 단순히 부모의 필드와 메서드만 물려받는게 아닌, 부모의 클..

자바 메모리 구조 자바의 메모리 구조는 메서드 영역, 스택 영역, 힙 영역 으로 나눌 수 있다. 자바에서 어떤 동작을 하냐에 따라 각각의 메모리가 저장하는 요소가 다른데, 간단히 정리해보자! 메서드 영역(Method Area)클래스 정보를 저장한다. (클래스가 실행되는 코드, 필드등 모든 코드가 존재함.)static 변수들을 보관한다. 스택 영역(Stack Area)자바를 실행하면, 하나의 실행 스택이 생성된다.스택프레임: 지역변수, 중간 연산결과, 메서드 호출결과등을 포함한다.메서드를 호출할때마다 하나의 스택 프레임이 스택에 쌓이고, 메서드가 종료되면 해당 스택 프레임이 사라진다. 힙 영역(Heap Area)객체(인스턴스), 배열이 생성되는 영역이다.더이상 참조되지 않는 객체는 자바의 GC(Garb..

1) .text() $(".box").text("new text"); 위와 같이 텍스트를 변경할 요소를 선택해서 .text 내에 변경하고 싶은 텍스트를 작성해 주면 된다. 예시)$(function(){ $("button:eq(0)").click(function(){ $(".box:eq(0) > .bgSpan").text("ABCDEF"); })} 2) .html() $("h1").html("new text"); .text()는 html 요소 내의 텍스트만 변경 가능하다.하지만 html()을 이용하면 텍스트뿐만 아니라 html 코드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해진다.위의 코드를 실행하면new texth1 요소의 content가 바뀌..

querySelector() 과 querySelectorAll()의 차이에 대해 정리해보자. querySelector() - document.querySelector()은 문서 내에서 입력한 선택자와 일치하는 첫 번째 요소를 반환한다. - 만약 일치하는 요소가 없으면, null을 반환한다. script> function clickMe(){ const doc= document.querySelector("#first >.Happy"); console.log(doc); doc.style.backgroundColor="green"; }script>div id="first"> p class="Happy">오늘은 일..

접근제어자 (access modifier) 자바에서 클래스와 클래스의 멤버들을 사용할 때 접근할 수 있는 범위를 지정하는 것. public, private, protected, default 키워드가 있다. 공개범위는 public > protected > default > private 순이다. 즉 private의 공개범위가 가장 좁으며, public이 가장 넓다. 접근제어자는 클래스와 클래스멤버에따라 사용할 수 있는 키워드 종류에 차이가 있다! 1. 클래스의 접근제어자 클래스의 접근제어자는1. public2. default(기본값, 생략가능) 이 있다. 1. public 클래스 :- 모든 클래스에서 이 클래스에 접근 가능하다.- 다른 패키지에서 접근가능하다.public class M..